목록분류 전체보기 (158)
My Archive

2023년도 대한항공 항공우주 부문 1차 면접 내용입니다. 면접 전에는 주어진 주제를 가지고 6명의 지원자들이 의견을 주고 받는 것이었습니다. 다만, 공개를 하지 말아달라고 면접 대기 중 직원분으로부터 안내를 받아 이곳에는 작성을 하지 않았습니다. 추상적으로 말씀드리자면 항공우주 분야에 대한 전체적인 동향과 관심이 있다면 어렵지 않은 주제 였습니다. 다음은 저에게 왔던 질문들입니다. 1. 본인은 연구실에서 어떤 평가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나요? 2. 석사 과정 중이신데 박사 과정을 생각해보신 적은 있을까요? 3. 공군 정비사로 근무했는데 정비사는 고려한 적 있으실까요? 다음은 타지원자분들께 갔던 질문들입니다. 1. 재료공학을 전공하셨는데 본인이 항공기 날개를 설계한다면 어떤 재료를 사용할지 말씀해주세요. ..

기억나는 대로 정리하였습니다. / 2023년도 상반기 정규직 공채(?) 였던걸로 기억합니다. 우선, 3차 면접은 정말 무슨 이유로 불렀는지 가늠이 가지 않을 정도로 간결하고 평이한 질문들이 오갔습니다. 그리고 다음은 저에게 왔던 질문들입니다. 1. 직장을 고를 때 고려하는 것이 무엇인가요? 2. 재미있는 자격증을 가지고 있네요. 어떤 계기로 취득하게 되었나요? 3. 자신의 강점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다음은 타 지원자에게 질문했던 것입니다. 1. 다른 회사 어디 지원하셨나요? 2. 이직을 결심한 계기가 있을까요? 이상입니다.

기계공학 베르누이 실험을 진행하면 눈금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측정한 데이터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질문이 많이 들어옵니다. 그리고 눈금은 물기둥의 높이가 아니라 공기 기둥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인데 왜 공기의 밀도가 아니라 액체인 물의 밀도를 측정하는 것인지 고민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 같아 관련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위 사진은 왼쪽부터 대기압일 때의 액주계 높이, 전압을 측정하는 피토관과 연결된 액주계의 높이, 그리고 정압을 측정하는 피토관과 연결된 액주계의 높이를 보여줍니다. 이때 전압은 동일한 유선 상에 있을 경우 일정해야 합니다. 그래서 속도의 제곱 항이 들어있는 동압 항이 속도 증가에 따라 커지면 정압 항은 작아져야 합니다. 즉, 속도가 증가할 때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정압을 측정하는 액주계..

대기압에서 수은(Hg)이 760 mm 만큼 올라갔기 때문에 1atm을 760 mmHg라고 합니다. 그리고 해당 실험을 수행한 이탈리아의 물리학자인 토리첼리(Torricelli)의 이름을 기려 'torr'이라고도 합니다. 참고로 1atm은 101,325 Pa에 해당합니다. 계산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추가로 아래에는 단위 변환을 정리해두었습니다. 앞서 이야기한 토르(torr) 단위에 대해서도 이야기해보자. 1 토르는 토리첼리를 기려 대기압(101,325 Pa)을 760 torr 라고 정의한다. 그래서 정리하면 전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1 ~\rm{Torr} \approx 1 ~\rm{mmHg} = \frac{1}{760} ~\rm{atm} = 133.322 ~\rm{Pa}$$ 참고자료 네이버 물리..

내가 속해 있던 그룹은 해외에서 항공정비를 전공한 학생 둘 과 4년제 전자공학을 전공한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면접 질문은 순서대로 정리한 것이 아니오니 유의 바랍니다. 1. 간단한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2. 자신의 장단점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3. 여러분들은 엔진 정비 직무에 지원하셨잖아요. 엔진 정비는 어떤 일을 하는 것인지 말씀해주세요. (해당 질문이 이번 면접의 핵심이라고 판단됨. 기업은 물론이며 직무에 대한 이해도를 명확하게 볼 수 있는 질문이었다.) 4. 엔진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말씀하실 수 있는 분 있을까요? 5. 처음 대한항공에서 입사하게 된다면 어떤 일을 하게 될 것 같으신가요? 6. 정비사가 갖춰야할 역량은 무엇이라 생각하신가요? 7. 자신이 제일 좋아하는 엔진이 있다면 왜..

기계공학 실험을 함에 있어 숙지하면 좋은 개념들을 정리하도록 한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압력(pressure)을 나타냄에 있어 파스칼(Pa) 단위를 사용하므로 수주 밀리미터는 익숙하지 않다. 그러나 어떻게 정의된 개념인지만 알면 우리가 알고 있는 압력 단위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주 밀리미터'의 뜻부터 살펴보자면 물 수(水)에 기둥 주(柱)를 사용하여 물기둥이라는 말이다. 그러니 물기둥의 높이를 말하는 것이 수주 밀리미터이다. 그리고 사람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관찰 가능하도록 미터(m)가 아닌 밀리미터(mm)를 사용하므로 물기둥의 높이를 밀리미터로 나타낸 것이다. 수식으로 살펴보면 왜 압력과 같은 선상에 있는지를 더욱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아래 식을 설명하자면 압력은 '단위면적 당 가해..

파동이 하나의 매질에서 다른 종류의 매질로 진행할 때, 입사각의 사인 값과 굴절각의 사인값의 비가 항상 일정하다는 법칙이다. 1621년 네덜란드의 빌레브로르트 판 로에이언 스넬이 발견하여 '스넬의 법칙'이라고 한다. 빛 뿐만 아니라 파동에 대해서도 성립하는 법칙이다. 아래 그림에서 'n'은 굴절률(refractive index)를 의미한다. 이와 함께 다뤄지는 두 개의 개념을 추가로 다룰텐데 알아두면 스넬의 법칙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1) 굴절률 (refractive index) n 빛의 속도와 어떤 매질의 위상 속도의 비 2) 페르마의 법칙 (Fermat's principle) 빛이 두 지점을 지날 때 최소 시간이 걸리는 경로로 진행한다는 법칙 스넬의 법칙은 피타고라스 법칙과 미분만 사용하면 간단..

제가 나중에 참고할 때 보려고 만든 페이지이며 Voyager님의 티스토리에서 발췌하였음을 밝힙니다. https://gmnam.tistory.com/157 [tistory] 티스토리에 LaTeX 수식 입력하기 (feat. 수식정렬) [Tips] 티스토리에 LaTeX 수식 입력하기 (feat. 수식정렬) 티스토리 블로그에 레이텍처럼 수식을 멋지게 넣을 수 있다. Mathjax를 설치하면 깃헙 블로그에 수식을 쓰듯이 입력할 수 있다. 이제 수식을 gmnam.tistory.com 다음은 LATEX 유용한 코드 기록해둡니다. homy님의 티스토리에서 발췌하였음을 밝힙니다. https://homy.tistory.com/56 LaTeX, 수식 괄호 정리 소괄호, 중괄호, 대괄호가 있고, 각각 짧은 괄호, 긴 괄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