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무기체계/항공역학 (3)
My Archive
지구정지궤도(Geo Synchronous Orbit, GSO)인공위성의 회전방향과 속도가 지구의 자전방향과 속도와 일치하여 지상에서 보기에 인공위성은 정지한 것처럼 보인다. 다른 말로 지구동기궤도(Geostationary Orbit, GEO)라고도 한다. 지구천이궤도(Geostationary Transfer Orbit, GTO)발사체가 직접 인공위성을 정지궤도까지 올리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드물다. 따라서 발사체는 타원궤도인 지구천이궤도에 인공위성을 올려 놓은 다음 인공위성이 타원궤도의 원일점에서 자체 추력을 사용해 지구정지궤도로 이동(transfer)한다는 의미에서 해당 궤도를 '지구천이궤도'라고 한다. 지구저궤도(Low Earth Orbit, LEO)우리들에게 친숙한 GPS 위성이나 지구관측용 위성은..

앞선 글에서 추력(thrust)과 출력(power)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제 엔진의 효율을 생각해볼 수 있다. 효율은 투입된 일 대비 얼마만큼의 일을 했는가로 살펴볼 수 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10 J의 에너지를 투입했는데 5 J 만큼의 일을 할 수 있는 엔진과 2 J 만큼의 엔진이 있다고 하자. 이때 5 J 만큼의 일을 할 수 있는 엔진은 효율이 50%라 할 수 있다. 동일한 개념을 여기에도 적용해보자. 첫 번째, 터보팬 엔진이 단위시간 당 얼마만큼의 에너지를 투입했는지는 공기의 속도로 생각해볼 수 있다. 아무런 에너지가 투입되지 않았다면 공기는 유입 속도와 유출 속도가 동일할 것이다. 반대로 유출 속도가 유입 속도보다 증가했다면 에너지가 투입되었다는 말이다. 이러한 생각을 수식으로 정리하면 식 (a..

터보제트 엔진과 달리 터보팬 엔진은 연비가 좋아 여객기에 널리 사용된다고 들었다. 그러면서 팬의 직경이 클수록 고 바이패스 터보팬 엔진이라며 더 우수한 연비를 가진다고 한다. 그래서 왜 그렇게 되는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터보팬 엔진이 왜 연비가 좋은지 알아보기 전에 숙지해야 할 것이 있다. 바로 엔진의 추력(Thrust)과 출력(Power)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추력(thrust)은 간단하게 엔진이 얼마만큼의 힘으로 비행기를 밀어주느냐 이다. 그래서 단위도 힘과 동일한 뉴턴(Newton, N)이다. 출력(power)은 시간당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이라고 할 수 있다. 간단하게 자동차 엔진의 출력을 떠올리면 된다. 자동차가 단위 시간당 만들어내는 일의 양이다. 엄연히 엔진이 자동차를 얼마만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