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취업준비/언어추리 (4)
My Archive

만약 ~~ 한다면 문제는 상한 우유를 떠올리자. 만약 우유에서 냄새가 난다면 우유는 상하지 않았을 것이다. 우유가 상하지 않았다면 우유에서 냄새가 나지 않을 것이다. 단서1: E약국은 공휴일에 영업을 하지 않는다. 단서5: 만약 C약국이 영업을 하지 않으면, E약국이 영업을 한다. 이는 E약국이 영업을 하지 않는다면, C약국은 영업을 할 것이다. 그리고 E약국은 조건 없이 공휴일에 영업을 하지 않으므로 C약국은 역시 무조건 공휴일에 영업을 할 것이다. 단서1과 5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는 모두 얻었다. 그리고 단서 4가 C약국을 거론하므로 단서 4부터 보도록 하자. 단서4: 만약 A약국이 영업을 하면, C약국은 영업을 하지 않는다. 이는 C약국이 영업을 한다면, A약국은 영업을 하지 않을 것이다. 이때..

명제: 자가용이 있는 모든 사람은 주차 스티커를 받는다. (참) 대우: 주차 스티커를 받지 않은 사람은 모두 자가용이 없다. (참) 해석하자면 자가용이 있는 사람은 모두 주차 스티커를 받으므로 주사 스티커를 받은 사람은 자가용이 있는 사람이다. 명제: 버스를 타는 모든 사람은 자가용이 없다. (참) 대우: 자가용이 있는 사람은 모두 버스를 타지 않는다. (참) 해석하자면 자가용이 있는 사람은 모두 버스를 타지 않으므로 주차 스티커를 받은 사람 중에서 버스를 타는 사람은 없다. 두 번째 대우로부터 '버스를 탄 사람 중'이라는 의미는 곧 자가용이 '반드시' 없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스티커는 자가용이 있는 사람에게만 발급되므로 버스를 탄 사람 중 주차 스티커를 받은 사람은 반드시 없다. 이렇..

단서1: D를 B보다 먼저 면담한다. 단서2: C를 D보다 하루 먼저 면담한다. 단서3: E를 F보다 먼저 면담한다. 단서4: F를 B보다 이틀 먼저 면담한다. 단서2로부터 일단 C > D는 묶어서 생각해도 문제 없다. 그리고 단서4로부터 F > [-] > B로 생각한다. 그럼 상황을 극단으로 몰아보자. 그냥 붙이는 것이다. 단서1에 따라 C > D > F > [-] > B 가 가능하다. 그런데 단서3에 따라 E를 F보다 먼저 면담해야 한다. 그럼 두 가지 케이스가 나온다. E > C > D > F > [-] > B 가 가능하다. C > D > E > F > [-] > B 가 가능하다. 따라서 목요일에 면담하는 사람은 반드시 F이다. C와 D는 무조건 함께 움직이므로 F와 B 사이에 올 수 없다. 그런데..

다양한 기업들의 필기시험을 공부하다 보면 재밌기도 하지만 헷갈리는 게 명제 문제라 생각된다. 그래서 공부하면서 배운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고자 한다. #1 명제가 참일 경우 대우 명제도 반드시 참이다. 명제: 화성인은 빨갛다. 역: 빨갛다면 화성인이다. 이: 화성인이 아니라면 빨갛지 않다. 대우: 빨갛지 않다면 화성인이 아니다. 화성인은 주어진 명제에 따라 '빨갛다'라는 그룹에 속해있다. 이는 의심할 여지없는 참이다. 따라서 빨갛지 않다면 자연스럽게 화성인이 아니라는 대우 역시 참이다. 하지만, 화성인 말고 수성인도 붉은 색의 피부를 가질 수 있기에 빨갛다고 무조건 화성인이라 할 수 없다. 따라서 명제의 역은 반드시 참이라고 확정할 수 없다. 명제에 대한 '이'도 마찬가지이다. 수성인의 피부 역시 불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