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취업준비/취업관련 (4)
My Archive

우주항공 우주항공공학 · 우주시스템 · 우주기계공학 · 우주과학 관련 전공 석사 이상 학위 소지자로 항공우주 분야 전략 · 정책 기획 또는 기술평가 관련 실무 경력 3년 이상인 자 (박사 학위 소지자는 경력 무관) 국가기관 주관 우주 분야 프로젝트 참여 경험자 우대 관련 분야 논문 작성자 우대 영어 능통자 우대 WMD (Weapon of Mass Destruction) 핵물리학, 원자력, 항공우주, 기계공학, 전자공학, 제어공학 관련 전공 석사 이상 학위 소지자로 핵 및 언자력 또는 미사일 및 발사체 관련 연구, 실무 경력 3년 이상인 자 ( 박사 학위 소지자는 1년 이상) 국제학회 또는 국제기구 주관 관련 프로젝트 참여 경험자 또는 해외 유관 기업 및 연구소 근무경력자 우대 관련 분야 논문 작성자 우대..

MRO, 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항공기 유지 관리를 위한 핵심 항공산업이다. 2015년 01월 정부는 국부 해외유출을 막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국내 MRO 기업을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2017년 12월 한국항공우주산업(KAI)가 MRO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2018년 07월 KAI를 주축으로 한국공항공사, BNK금융그룹 등 9개사가 KAEMS를 출범시켰다.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 등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를 주요 고객으로 한다. 보잉 737에 이어 A320 정비인증까지 확보했다. 한국 공군의 KF-16 뿐만 아니라 주한, 주일 미공군의 F-16 정비도 맡는다. 제주항공의 B737, 해병대 상륙기동헬기인 마린온 등의 정비를 수행한다. 대한항공의 MRO 인력이..

FLNG,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해상에서 천연가스를 채굴한 뒤 이를 정제하고 LNG로 액화하여 저장한 뒤 하역까지 할 수 있는 복합 해양 플랜트로 바다 위의 LNG 공장으로 불린다. 육상 플랜트와 비교해 액화, 저장설비, 해상 파이프를 설치하지 않아 비용 절감이 가능하여 수익성이 좋은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친환경적이며 이동이 용이하다는 점도 장점이다. 지상에서 가스를 채굴하지 않는 이상 해상 가스전은 채굴한 천연가스를 다른 나라로 수출하기 위해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건설해야만 했다. 그런데 FLNG 가 있다면 채굴한 천연가스를 바로 액화하여 LNG 선 (또는 LNG-C)에 실어 수입국으로 운반할 수 있다. 전 세계에 총 4척의 FLNG 선박..

에너지 원료로 거론되는 천연가스(natural gas)는 석유와 함께 매장되어 있는 기체 상태의 가스를 말한다. 석탄이나 석유에 비해 대기 오염 물질 배출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청정원료 중 하나이다. 그리고 천연가스는 가공 방식이나 상(phase)에 따라 다양하게 불린다. [1] PNG, Pipe-line Natural Gas 배관을 통해 매장된 천연가스를 기체 상태로 운반하는 경우이다. 출토된 천연가스를 별도의 공정 없이 운송하기 때문에 운반에 드는 비용이 거의 없다. 그러나 채굴지로부터 사용처까지 가스관 설치가 필수라는 점에서 지리적 제약이 있고 이때문에 초기 설치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논란이 되는 독일-러시아의 노르트 스트림이나 '잠가라 밸브' 등이 PNG와 관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