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59)
My Archive

배경 영국의 제임스 와트는 자신이 만든 증기기관 Whitbread engine을 판매하기 위해 말이 얼마만큼의 힘을 낼 수 있는지 계산해 보았다. 당시 석탄 광산에서는 석탄을 나를 때, 맥주 공장에서는 맥아를 만들기 위해 방앗간을 돌리는데 말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 사람들에게 '증기기관은 말 10마리만큼의 일을 할 수 있다'는 표현은 매우 직관적이었다. 유도 #1 와트가 어떻게 마력을 계산했는지는 크게 두 가지 설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 번째는 당시 광산에서 석탄을 올리는 데 사용되었던 조랑말(pony)를 기준으로 했다는 이야기이다. 와트는 조랑말이 22,000 foot pounds per minute, lbs·ft/min 정도의 일률(power)을 가진다고 보았다. 그리고 조랑말(pony)보다 큰..

중력(gravity)은 대표적인 보존력(conservative force)이다. 그리고 우리가 잘 알다시피 위 그림과 같이 두 구(sphere)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힘이 작용한다. →F=mg=GmMr2 이때 중력 상수 G는 중력 가속도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g=GMr2 그리고 중력장 안에서 위치 에너지 또는 퍼텐셜 에너지 U는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U=mgr 우리에게는 h를 사용한 표기가 익숙할텐데 이는 지표면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다. U1=mgr=mg(R+h) U2=mgR ΔU=U2−U1=mgR+mgh−mgR=mgh ..

오후 2시 면접조였는데 2차면접까지 온 특수선 설계 지원자는 저 포함 단 둘 뿐이었습니다.면접관은 총 4분이셨으며 면접 후 G80 3대에 기사님이 대기하고 계신 걸로 보아 정말 높으신 분들이란 걸 느꼈습니다.그리고 실제 면접은 2시간 반 정도를 대기한 후인 4시 반 정도에 시작되었습니다.그동안 저를 제외한 유일한 특수선 설계 지원자님과 대화하며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광주에서 울산까지 이동하면서 피곤했는지 생각보다 많은 내용이 기억나진 않네요.그래도 기억나는대로 최대한 작성해보았습니다.‘공통’은 저와 다른 지원자 모두에게 질문한 내용이고, ‘타’는 다른 지원자에게 했던 질문이며, 별다른 표기가 없는 것은 저에게만 했던 질문입니다! 1. (공통) 간단하게 지원 동기와 상세설계에서 하고자 하는 직무..

앞선 글에서 추력(thrust)과 출력(power)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제 엔진의 효율을 생각해볼 수 있다. 효율은 투입된 일 대비 얼마만큼의 일을 했는가로 살펴볼 수 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10 J의 에너지를 투입했는데 5 J 만큼의 일을 할 수 있는 엔진과 2 J 만큼의 엔진이 있다고 하자. 이때 5 J 만큼의 일을 할 수 있는 엔진은 효율이 50%라 할 수 있다. 동일한 개념을 여기에도 적용해보자. 첫 번째, 터보팬 엔진이 단위시간 당 얼마만큼의 에너지를 투입했는지는 공기의 속도로 생각해볼 수 있다. 아무런 에너지가 투입되지 않았다면 공기는 유입 속도와 유출 속도가 동일할 것이다. 반대로 유출 속도가 유입 속도보다 증가했다면 에너지가 투입되었다는 말이다. 이러한 생각을 수식으로 정리하면 식 (a..

터보제트 엔진과 달리 터보팬 엔진은 연비가 좋아 여객기에 널리 사용된다고 들었다. 그러면서 팬의 직경이 클수록 고 바이패스 터보팬 엔진이라며 더 우수한 연비를 가진다고 한다. 그래서 왜 그렇게 되는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터보팬 엔진이 왜 연비가 좋은지 알아보기 전에 숙지해야 할 것이 있다. 바로 엔진의 추력(Thrust)과 출력(Power)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추력(thrust)은 간단하게 엔진이 얼마만큼의 힘으로 비행기를 밀어주느냐 이다. 그래서 단위도 힘과 동일한 뉴턴(Newton, N)이다. 출력(power)은 시간당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이라고 할 수 있다. 간단하게 자동차 엔진의 출력을 떠올리면 된다. 자동차가 단위 시간당 만들어내는 일의 양이다. 엄연히 엔진이 자동차를 얼마만큼..

오래전부터 미국과 긴밀히 교류해 온 영국은 1930년대부터 항공우편 등 다양한 항공산업이 존재했다. 그래서 영국은 자연스럽게 대서양을 횡단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로 공중 급유 기술을 연구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Cobham 경이 있었다. 그는 1934년에 'Flight Refueling Ltd, FRL'이라는 회사를 설립하여 적극적으로 공중 급유 기술을 발명했다. 덕분에 영국은 Grappled-Lopp hose 시스템을 개발하여 미국의 공중 급유기 전력화에 상당 부분 일조했다. 더 나아가 파일럿이 보다 쉽게 공중 급유를 할 수 있도록 개발된 Probe and Drogue 시스템은 현재 미국이 개발한 플라잉 붐 공중 급유 방식과 함께 전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플라잉 붐은 고가인..

첫 번째, 민방위는 민간인 신분이다. 국방부에서 관할하는 예비군과 달리 민방위는 행정안전부에서 관할하여 군인과 무관하다. 두 번째, 예비군 1년차부터 4년차는 동원예비군이다. 동원훈련이란 동원지정자를 대상으로 현역 부대에 입영하여 전시에 수행할 임무를 연습하는 것이다. 이때 예비군의로서 훈련을 수료하는 법은 세 가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1) 동원 지정자는 동원 훈련 2박 3일을 받는다. (2) 동원 미참가자는 동미참훈련이라 하여 하루 8시간씩 4일 출퇴근하며 훈련을 받는다. (3) 학생은 학생예비군으로 분류되어 하루 훈련 받는 것으로 모든 것을 대체한다. 이는 대학생들의 수업권을 보장하기 위한 취지로 사흘간 받을 훈련을 하루로 압축한 것이다. 세 번째, 5년차부터 6년차는 지역예비군이다. 이들은 지..

면접은 영어 면접과 일반 면접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저는 15시까지 오라고 안내받았고, 영어 면접은 5분이 채 안될 정도로 짧았습니다. 그래서 정확한 시간도 기억을 안해뒀는데 적어도 30-40분 정도는 대기했던 걸로 기억납니다. 1단계: 영어 면접 1. 자기소개 영어로 간단하게 설명해주세요 2. 영어 어디서 배우셨나요? 3. 몇 개 국어 할 수 있으세요? : 영어를 비롯해 언어 공부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해서 시작된 이야기였습니다. 4. 취미가 뭔가요? : 유튜브 본다고 시작했다가 피식 웃으셔서 항공기에 대한 글도 연재한다고 말했습니다. 5. 지금까지 글을 몇 편 정도 올렸을까요? 2단계: 일반 면접 (16:29 ~ 16:48 대략 20분간 진행) 대졸 공채 때는 최종 면접이 임원면접이라 임원분들이 들어오실..

경계층 실험은 정압(static pressure)도 측정할 수 있는 피토-정압관이 아닌 피토관을 사용하므로 전압(total pressure)만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아래 식을 보면 정압도 알아야 속도값을 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무래도 교재는 피토관에서는 전압만 측정하므로 정압을 날린 것 같다.) P=p+12ρ→v2 #1 점착 조건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전압(total pressure)는 우리가 액주계를 통해 기록하였으므로 실험을 통해 얻는 값이다. 문제는 정압(static pressure)이다. 우선, 경계층 실험에서는 얻을 수 없는 값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점착조건(no-slip condition)을 적용해 y=0 ..

특수선은 사업 특성 상 지원자가 많지 않았다. 나의 경우 HD현대 서류합격자 오픈 채팅방에 지원자는 나를 포함해 2명이었고 내가 유일한 서류합격자였다. 면접질문으로 바로 넘어가도록 하자. (타)는 타지원자에게 제공되었던 질문 입니다. 1. 준비하신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솔직히 준비는 하지 않았다) (타) 석사-현재 휴학 중: 본인의 연구 분야에 대해 자세히 말해주세요. 2. 기계공학이면 역학을 많이 배울텐데 어떤 어려움이 있었고, 이를 어떻게 극복했는지 말씀해주세요. 3. 무기체계에 관심이 많다고 하셨는데 무기체계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 말씀해주세요. 4. 무기체계에 관심이 많은데 무기체계 부서와 기계 부서가 있다면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 5. 본인은 특수선 사업부에 지원하셨는데 이에 대해 아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