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04-30 09:26
Archives
Recent Posts
관리 메뉴

My Archive

북한 무인기 사건에 대한 고찰 (작성 중) 본문

잡동사니/왈가왈부

북한 무인기 사건에 대한 고찰 (작성 중)

빛나는 전구 2025. 1. 18. 23:34

2018년 평양 공동선언 부속합의서인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그해 11월 11일 남북은 각각 11개 초소를 전면 철거 및 1개씩 보존했다. 이후 북한이 2020년 5월 3일 중부전선 우리 3사단 GP에 고사총 총격을 가하는 등 군사합의 위반에도 철거 GP는 5년간 그대로 유지됐다.

General Out Post, 남방한계선을 지키는 일반 전방초소를 가리킨다. GOP는 남방한계선 철책 지역을 담당하고, GP는 GOP가 위치한 남방한계선을 넘어 DMZ 안에 위치해 있다. 보안상의 이유로 GP는 GOP에 비해 언론 등 민간에 노출이 거의 되지 않는다.

문화일보, 분단이 만든 남북 최전방 대결 상징... 5년만에 복원돼 긴장감 고조[10문10답] 2023-12-05

 

6일 복수의 군 관계자에 따르면 우리 군은 지난 3일 오전 7시 41분께 비무장지대(DMZ) 중부전선 GP에서 북한군 총성을 들은 뒤 GP 외벽에 4발의 탄흔을 확인하고 경고 사격 및 경고 방송을 실시했다.

이같은 조치를 취하는 데 약 20분 정도가 소요됐다. 군은 1차 경고 사격 후 약 3분 뒤 2차 경고 사격을 했다. 그 이후 경고방송을 통해 우리측 GP의 피탄 상황과 정전협정 위반 가능성, 상황이 더 확대되지 않도록 중단을 촉구하는 내용 등을 전했다.

우리 군은 민통선 일대 부대와 연천군 중면 면사무소 일대에서 낙탄을 확인한 뒤, 오후 5시 30분께 경고방송을 하고, 이후 10여분 뒤 12.7mm K-6 기관총 40여 발의 대응사격을 했다. 첫 대응 사격에 105분 가량 걸린 셈이다.

군은 이번 대응 과정에서 GP가 피탄된 것을 확인 후 1차 경고 사격을 K-3 기관총(5.56mm)으로 실시했다. 이후 북한군이 14.5mm 고사총을 사격한 정황을 파악해 2차 경고 사격에서는 K-6 기관총(12.7mm)으로 수위를 높여 대응한 것으로 전해졌다. 총 20발이 넘는 사격 이후 경고방송을 실시했다. 

이데일리, 軍, 北 GP 총격 20분 후 20여발 사격... '늑장'vs'과잉' 논란 2020-05-06

 

2025년 1월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

우리의 비밀을 확인해 줄 수 없다는 게 우리 비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대방의 심리적 압박을 주어서 선택을 제한하게 하고 혼란을 주는 겁니다. 그래서 우리가 이익을 얻는 전략입니다.

그러면은 핵심은 여기에서는 비밀의 유지입니다.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서 이런 전략을 쓰고 있는데 이걸 가지고 자꾸 북풍이라고 얘기하면 저는 이렇게 묻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다양한 무인기들이 10여 대의 무인기 22년 말에는 하물며 수대의 무인기가 서울 수도권에 들어와서 굉장히 남남 갈등을 일으켰습니다. 그러면 이거는 북풍입니까. 남풍입니까. 왜냐하면 20년에 연천에 GOP 총격 도발이 있을 때도 대응으로 포격 도발을 하고 바로 중지를 했습니다. 이런 상황이 자꾸 북풍이라고 그러면은 현장 부대에 자꾸 제보해 달라 이렇게 하면, 모든 정보가 유출되면, 제 카드가, 패가 다 노출되면, 작전적으로 이용이 안되는 겁니다.

김정은이가 돈을 가지고 확인해야 될 것을 스스로 제가 왜 확인을 해주냐 이겁니다. 적이라는 것은 기만과 기습을 쓰고 자기들이 원할 때 도발을 합니다. 그런 적에 대항해서 저희들은 우리 국민과 장병을 지키면서 경계 태세와 대비 태세를 유지하는 겁니다.

조선일보, [오늘무슨일] 합참의장 "北 김정은이 돈들여 확인할 걸 왜 우리가 해주나"

 

나무위키, 2024년 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