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Archive
대포동 1호 미사일 본문
대포동 1호는 1998년 8월 31일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 동해위성발사장에서 발사되었다. 그리고 북한은 이로부터 5일 뒤인 9월 4일에 탄두부에 실려 있던 광명성 1호가 정상적으로 궤도에 안착했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으로는 타원궤도를 165분 6초 주기로 돌고 있으며 김일성 장군의 노래 등을 모스부호 27 MHz 주파수를 통해 전송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9월 9일 9.9절 행사에서 ‘인공지구 위성’이라는 플래카드로 성공을 장식했지만 외신들은 궤도 위성이 아니라 탄도 궤적을 가진 물체로 판단하며 실패로 간주했다. 한미 당국도 광명성 1호를 탐지하지 못해 궤도 진입에 실패한 것으로 평가했다. (특이하게도 1998년도에 보도된 「KBS뉴스, <북한 인공위성 발사> 위성발사 과정은」에서는 266초에서 2단계 발사체가 분리되어 1646 km에 낙하했으며, 293초에 위성 분리에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위성의 궤도 안착과 별개로 북한이 발사한 최초의 장거리 다단식 탄도미사일이라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위성의 형상은 중국이 1970년 4월에 발사한 중국 최초의 인공위성 ‘동방홍’과 매우 유사하다. 형상만을 가지고 중국과의 연관성 및 지원을 의심하는 것은 곤란하다. 하지만,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 ‘우리별 1호’ 역시 기술 지원을 받은 영국의 UoSAT-5 인공위성의 본체를 사용한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북한 역시 중국으로부터 인공위성 관련 기술을 지원받았을 것이라 추정한다.
‘대포동’이라는 이름은 미사일이 최초로 발견된 장소에서 유래하였다. 1994년 2월 미국의 첩보위성이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의 한 연구시설에서 2단계 로켓 형태의 미사일 2기가 제작 중임을 포착했고, 이에 이곳의 옛 이름인 ‘대포동’을 미사일 이름에 붙인 것이다. 북한에서는 ‘백두산’이라고 부른다. 경향신문 「발사 4단계 중 1·2단계 마무리 추정」에 따르면 ‘8월 7일 무수단리에 발사에 필요한 설비와 기재를 모두 운반해 온 뒤 24일의 준비과정을 거쳐 8월 31일에 발사했다.’고 한다.
대포동 1호는 ‘화성 7호’ 미사일인 노동 미사일을 1단에 사용하였고, 2단에는 ‘화성 6호’ 미사일이라고 불리는 스커드 C형 미사일을 사용했다. 따라서 1단과 2단 모두 액체연료를 사용하고 있다. (참고로 노동 미사일은 스커드 미사일을 25% 키운 미사일이므로 사실상 스커드 미사일로 구성된 발사체라 보아도 무방하다.) 언론에서는 2단 장거리 미사일이라고 하나 광명성 1호의 궤도 안착 실패 원인으로 ‘3단 로켓 점화 실패’가 언급되고 있다는 점에서 나는 대포동 1호를 3단 발사체로 본다. 특히, 공개된 미사일의 형상을 보면 노동 미사일과 스커드 미사일만으로는 충분한 길이가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3단에 북한이 1996년에 시리아로부터 밀반입한 구소련제 SS-21 미사일을 역설계하여 개발한 화성 11형 미사일을 대입하면 충분한 길이가 나온다. 화성 11형 미사일은 고체연료를 탑재한 북한의 단거리탄도미사일이다.
대포동 1호 1단부는 발사 95초 뒤 발사장에서 253 km 떨어진 동해상에 낙하했다. 2단부는 발사 266초 뒤 북한으로부터 1,380 km 떨어진 태평양 공해상에 낙하했다. 언론에서는 대포동 1호의 최종 낙하지점을 태평양 방향으로 1646 km 떨어진 지점이라고 보도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국회입법조사처에서 발행한 ‘북한의 인공위성(미사일) 발사 논란과 시사점’에 따르면 대포동 1호를 사정거리 2,200 ~ 2,500 km의 미사일로 소개하고 있다. 즉, 북한의 장거리탄도미사일 개발의 시작을 알리는 미사일이었으며 우리나라 김대중 정권은 햇볕정책을 실시하고 있었기에 국민들이 큰 충격을 받았다. 미국에서는 해당 발사체를 중거리탄도미사일 개발을 위한 기술실증형 미사일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따르면 ‘대포동 1호 발사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재추대를 축하하는 축포의 성격을 띠는 한편, 선군정치의 개막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라고 하였다.
참고자료
동아일보, 北 인공위성 「광명성 1호」 사진 공개
네이버 위성통신 시스템공학, 광명성 1호와 동창리 기지(북한)
북한탄도미사일. 4편. 화성7호. 노동미사일. 대포동1호. 소련R-21. 중국 둥펑-21. DF-21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대포동 1호
'북한관련 > 발사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1) | 2025.04.13 |
---|---|
화성-5 & 화성-6 (1) | 2025.04.12 |
2023년 11월 21일 북한 만리경 인공위성 발사 (2) | 2023.12.05 |
은하 1호 (추정) (0) | 2023.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