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경제 (2)
My Archive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듯 돈은 이자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흐른다. 금리가 높아지게 조금이라도 많은 이자를 받기 위해 돈이 몰리게 됩니다. 대부분의 국가는 돈이 흐르는 길을 통제합니다. 나라마다 통화가 다르기 때문에 외환 시장에서 환율에 따른 환전 절차를 거쳐야 국가 간에 돈이 오갈 수 있습니다. 때로는 불편해 보일지 모르지만 각국의 통화 제도는 일종의 방파제이자 안정망이면서 경제 주권의 관문 역할을 합니다. 한 나라의 경제 위기가 다른 나라로 파급되는 것을 완화해 주는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달러는 기축통화이기 때문에 전 세계의 돈은 미국으로 몰릴 수밖에 없다. 그런데 달러가 기축통화로 널리 사용되기 위해선 미국 밖으로 많이 나와야 합니다. 이를 위해 미국은 수출을 많이 해 돈을 벌어들..

2016년에 대학교에 입학했을 때만 해도 한 끼를 해결하는데 6,000원이면 넉넉했다. 그런데 이제는 한 끼에 10,000원 정도는 각오해야 하는 날도 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2023년 그러니까 입학한 이후 7년이 지난 시점에서, 종종 친구들과 학교 근처에서 밥을 먹다 보면 새삼 물가가 많이 오른 것에 놀라곤 한다. 그러던 중 친구들과 왜 라면 가격이 올랐는지 궁금해져서 관련 자료를 찾았고 이를 정리해 두었다. 곡물 가격 인상 첫 번째,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이다. 우크라이나는 세계의 곡창지대라 할 정도로 많은 곡물을 수출하는 국가이다. 그런데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제때 곡물을 수확하지 못하고, 또 수출하지 못하고 있다. 당연히 수요는 변하지 않았는데 공급이 줄어들었으니 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