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64)
My Archive
일제의 쇠말뚝 민족정기 말살론은 오랫동안 정설이었다. 그래서 뽑아 없애야 한다는 여론이 크게 일어났었다. 글쓴이의 말을 옮기자면 '내 기억으로는 1980년대에 형성되었고, 1990년대에 절정에 이르러 2000년대와 2010년대 중반까지도 그 기세가 이어졌다.'고 한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일제가 쇠말뚝을 박은 이유는 '민족정기 말살'이 아닌 '측량'을 위한 것으로 결론이 났다. 첫 번째, 일제가 민족정기 말살을 위해 쇠말뚝을 박았다는 일제의 기록이 전무하다. 두 번째, 일본은 풍수지리설을 믿지 않는다. 조선총독부는 조선의 풍수와 귀신 등에 대해 체계적으로 조사한 것은 맞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자신들의 식민통치를 위해서였지, 그들이 풍수지리를 믿어서는 아니었다. 세 번째, 일제는 조선을 두..
항공사의 RM, Revenue management. 매출을 극대화하기 위한 부서이다.항공권의 가격을 하나로 고정시키면, 보다 많은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소비자와 낮은 가격을 원하는 수요자 모두를 잃게 된다.이를 방지하기 위해 항공사는 다양한 가격을 만들어 수요자가 지불할 의향이 있는 최대의 금액을 지불하게끔 만든다.비즈니스 목적으로 출장을 원하는 승객은 출국, 입국 날짜가 정해져있으므로 일정에 크게 개의치 않을 것이라 예상한다. 동시에 출장비는 회사에서 지불할 것이며 금액이 비싸더라도 출장을 가야하기에 금액에 크게 민감하지 않다. 그렇게 해서 항공사들은 소비자의 구매 선택을 유도해 최대한 큰 비용을 지불하게끔 유도한다.네이버 블로그 zhyler, 항공사의 RM, 항공권 가격이 다르게 책정되는 이유 (2..
DDG-173 공고(ごんご)급 구축함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I형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헬기 격납고가 없다. 그리고 기함으로써 운용할 수 있도록 지휘시설을 추가하여 상부구조물이 대략 3 m 가량 높아졌다. 동형함으로는 DDG-174 기리시마(きりしま), DDG-175 묘코(みょうこう), DDG-176 초카이(ちょかい)총 4척이 있다. DDG-177 아타고(あたご)급 구축함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IIA형을 기반으로 제작하여 헬기격납고와 VLS 적재구역에 대해 큰 차이를 둔 것이 특징이다. 동형함으로는 DDG-178 아시가라(あしがら)가 있다. DDG-179 마야(まや)급 구축함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형 Restart에 준하는 성능을 가질 것으로 추정된다.
첫 번째 공급의 비유연성. 수요에 맞춰 빠르게 대응하기(공급을 늘리기) 어려운 것이 항공권의 특징이다.두 번째, 항공산업은 수요가 급변할 수 있는 산업이다. 예를 들어 갑자기 전쟁이 일어난다거나, 테러 발생 또는 지진 등의 천재지변으로 사람들이 항공권을 대거 취소할 수 있다.세 번째, 항공업은 서비스업이다. 오늘 항공권은 내일 사라진다. 서비스의 소멸성이다.네 번째, 고정비. 승객이 10명이 타든 100명이 타든 무조건 발생하는 비용이다. 이윤과 고정비, 그리고 변동비에서 이윤과 고정비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일드 매니지먼트. Yield management. 수익률 관리이다. 미국 항공사 아메리칸 에어라인이 저비용 항공사의 등장을 견제하기 위해 만든 관리기법이다. 서비스 기업의 대표적인 수익성 관리 기법으..
Arleigh Burke class destroyer DDG-51 Arleigh Burke (Flight I) DDG-67 Cole (Flight I) DDG-68 The Sullivans (Flight I) DDG-82 Lassen (Flight IIA) 62구경장 함포 탑재한다. 이전까지는 54구경장 함포가 탑재되었다. IIA형부터 배기구 부분의 RCS 감소를 위해 배기구가 가려지게 되었다. 헬기 격납고가 생겼다. 하푼 미사일 발사대가 철거되었다. 연안에서의 작전능력 강화를 목표로 설계가 수정된 함정이다. 근접방어무기인 CIWS 팰렁스 탑재 수량도 2대에서 1대로 줄어들었다. DDG-92 Momsen (Flight IIA) DDG-98 Forrest Sherman AN/SPY-1D(V) 레이더 탑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