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05-03 20:00
Archives
Recent Posts
관리 메뉴

My Archive

대한민국 순항 미사일 개발사 본문

무기체계

대한민국 순항 미사일 개발사

빛나는 전구 2024. 3. 31. 10:00

불곰 사업의 결과물로 만들어진 아래 미사일들.

 

해성 대함 미사일 (대한민국의 첫 번째 국산 순항 미사일)

중간유도에서 관성항법(INS)과 GPS 항법을 사용한다.

지형참조항법도 사용하고 있다. SS-760K (Kh-35 엔진을 기반으로 제작된 터보팬 엔진이다.)

SS-760K 엔진은 하푼에 탑재된 CAE J402 엔진보다 강한 추력을 낼 수 있어 해성은 보다 뛰어난 기동성을 갖게 된다.

R95TP-300 소모성 소형 제트엔진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하였다.

엔진 추력이 강하므로 더 무거운 탄두를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2개의 공기흡입구를 가졌다. 이는 급격한 기동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공기흡입을 가능케 하기 위한 것이다.종말유도 단계에서는 레이더 유도 방식을 채택하였다.2009년에 실전 배치되었다.

 

현무3 지대지 미사일 (대한민국의 첫 번째 순항 미사일)

A형은 항속거리 500 km / B형은 항속거리 1,000 km / C형은 항속거리가 1,500 km에 달한다.

공기흡입구는 하나만 있으며, 주익을 가져 토마호크 미사일과 매우 흡사하다.

최대한 긴 비행거리를 갖추어야 하므로 급격한 기동은 필요 없으므로 공기흡입구가 하나뿐이다.

SS-961K 엔진을 탑재하고 있다. 800 파운드 엔진이라는 것만 알려져 있고 대부분이 기밀에 붙여져 있다.

현무는 종말유도 단계에서 적외선 시커를 사용하여 지상표적에 돌입한다.

걸프전에서 이라크 군의 방공망을 제압한 것이 토마호크 미사일이라는 점에서 현무 3은 전략적으로 중요하다.

 

해성2 함대지 미사일 / 해성3 잠대지 미사일

군함과 잠수함에서 발사할 수 있는 미사일이다. 보다 다양한 플랫폼에서 발사하여 전쟁발발 가능성을 억제한다.

 

해룡 미사일

해성 미사일에서 레이더 시커를 제거하고 연료와 탄두를 더 넣어 지상목표물을 제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천룡 공대지 미사일 = 한국판 타우러스 미사일

 

북한을 고려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지상을 공격할 수 있는 미사일을 열심히 개발했다.

자신의 안보환경에 맞는 미사일을 개발하는 것이다.

 

조종, 해성부터 해룡까지. 국산 순항미사일의 개발사

'무기체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룡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 관련  (0) 2025.01.28
중국 J-20 관련 자료 조사  (4) 2024.12.17
태국 공군 F-16A/B  (0) 2024.09.28
Rolls-Royce  (1) 2024.04.21
파키스탄 F-16 도입사  (0) 2023.07.3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