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05-19 00:30
Archives
Recent Posts
관리 메뉴

My Archive

Sam Altman과 AGI 본문

잡동사니/왈가왈부

Sam Altman과 AGI

빛나는 전구 2023. 12. 5. 13:12

출처: MIT 테크놀로지 리뷰

 

일리야 수츠케버 (Ilya Sutskever)

소련 출생, 이스라엘계 캐나다인 컴퓨터 과학자이다. 

토론토 대학 수학과 학사 취득 후 같은 학교에서 컴퓨터과학으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함.

현재 오픈AI 수석과학자를 역임하고 있다. 원래는 구글에서 텐서플로우와 우리에게 유명한 '알파고' 출시를 진두지휘한 인물이다. 인공지능에 대한 견해 차이로 구글의 래리 페이지와 다툰 이후 일론 머스크가 샘 알트만과 함께 설립한 OpenAI에 수석과학자로 영입된다. 이 사건으로 일론 머스크는 래리 페이지와 관계가 파국으로 치닫았다고 한다. 이후 OpenAI에서 ChatGPT 및 GPT-4 설계를 주도하였다.

 

샘 올트먼 (Sam Altman)

미국 출생 독일게 유대인 기업인이다.

스탠퍼드 대학교 컴퓨터 과학 전공으로 입학했으나 1년만에 중퇴했다. 인간처럼 사고하고 추론할 수 있는 AI가 인류에게 도움을 줄 것이라고 판단하여 개발 가속화를 꿈꾸고 있다. 개발자라기보다는 다양한 분야에서 투자를 이끌어내어 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가의 면모가 강하게 느껴진다.

 

범용인공지능 또는 일반인공지능 (AGI)

일각에서는 챗GPT가 범용인공지능(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에 근접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AGI는 강인공지능에 해당한다. AGI는 특정 조건에서 특정 업무만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알파고)와 달리 모든 상황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말한다. 이들은 끊임없이 다양한 분야를 학습할 수 있다.

 

생각정리

개인적으로 인공지능을 설계를 직접 주도한 인물로부터 나온 우려에 대해서는 진지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샘 올트먼은 분명 인공지능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을 갖췄겠지만 그는 인공지능 개발보다는 회사 경영, 자본 유치 등에 더 뛰어난 자질을 갖춘 경영자에 가까운 인물이라 생각된다. 그런 점에서 기술의 발전, 특히 그 기술이 인류 전체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면 다소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일리야 수츠케버가 쿠데타를 주도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돌연 올트만의 복귀를 지지하게 된 것은 오픈AI의 공중분해를 막기 위해서라고 생각된다. 즉, 위험하니 개발을 중단해야 한다는 입장이 아니라 위험하니 천천히, 조심스럽게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입장이라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맥락상 그가 한 것으로 추정되는 말이 인상적이었다.

 

"AGI와 인간의 관계는 인간이 동물을 대하는 방식과 비슷할 겁니다. 인간이 동물을 미워하지는 않죠. 그렇다고 고속도로를 만들 때 우리가 그곳에 있는 동물들에게 동의를 구하진 않잖아요?"


참고자료

북저널리즘, 2023년 11월 21일 챗GPT의 아버지가 이직한다. 너무 똑똑해진 AI의 미래가 불안하다.

북저널리즘, 2023년 11월 24일 오픈AI 혼란의 중심에 철학적 충돌이 있다.

조선일보, '알파고 개발' AI 천재는 왜 올트먼에 맞서 쿠데타 일으켰나 (23.11.2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