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용어 (4)
My Archive
직책 직분 직(職) + 꾸짖을 책(責) 직무상의 책임 [네이버 국어사전] 타인을 지휘할 수 있는 구체적 권한과 책임을 동반하여 보직이 부여된 상태. [나무위키] 파트장, 팀장, 실장, 본부장, 사업부장, CEO(최고경영자)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직책이 변경될 때 우리는 '이동'이라고 한다. 직급 직분 직(職) + 차례 급(級) 직무의 등급. 책임도 따위가 상당히 비슷한 직위를 한데 묶은 최하위의 구분이다. [네이버 국어사전] 경력에 따라 나뉘는데 직책과 달리 지휘권한이 없다. 주로 '호봉'이나 '년차'라고 한다. [나무위키] 직위 직분 직(職) + 벼슬 위(位)직무에 따라 규정되는 사회적 및 행정적 위치 [네이버 국어사전]직무상의 위치. 가장 직접적인 서열이다. 직위가 변경될 때 (보통 오를 때) 우리..
가로세로 마냥 자주 헷갈려서 정리해둡니다. 정량적 분석(Qunatitative analysis) 정량평가란 객관적으로 점수를 매길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객관식 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점수를 매기는 것을 '정량적 평가'라고 할 수 있다. 학술적인 글을 작성할 경우에는 그래프, 표 등 수치화된 값을 보여주는 경우를 말한다. A 배터리 대신 우리가 개발한 배터리를 사용했더니 1시간 32분 더 오래 작동했다. (정량적 평가) 정성적 분석(Qualitative analysis) 정성평가란 주관적으로 점수를 매길 수 있는 경우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예를 들어 주관식(서술형) 평가는 큰 틀 아래 채점자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점수를 매기기에 '정성적 평가'라고 볼 수 있다. 학술적인 글을 작성할 경우에는 실..

요약 법칙은 원인을 두고 결과값을 보여준다. 즉, 어떤 일이 일어날지 말해준다. 만유인력의 법칙은 질량이 \(m_{1}\)인 물체와 질량이 \(m_{2}\)인 물체가 거리 \(\vec{r}\)일 때 작용하는 힘을 도출해낸다. 이론은 원인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보여준다. 즉, 왜 일어났는지를 설명해준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시공간 개념과 중력장 개념을 도입하여 공간의 휨에 따라 물체가 떨어짐을 설명한다. 실은 이 둘을 구분하는 것은 무척이나 어려웠다. 그렇기 때문에 틀린 점이 있을지도 모르니 비판적으로 읽어주길 바란다. '법칙(law)'은 이름에서도 느껴지듯이 무겁고 절대적인 느낌이 든다. 네이버 국어사전에서는 '모든 사물과 현상의 원인과 결과 사이에 내재하는 보편적, 필연적인 불변의 관계'라 ..

'가설(hypothesis)'이란 관찰 결과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설명이다. 즉, 내가 관찰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 검증된 것은 아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독일 기상학자 베게너가 1912년에 발표한 '대륙 이동설(Continental drift theory)'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대륙 이동설은 가설이다. 당시 대륙 이동설은 과학적인 근거를 토대로 대륙의 움직임을 주장한 근대적인 첫 번째 모델이었다. 그러나 그는 대륙을 이동시킬 에너지가 무엇인지 설명하지 못했다. 그리고 증거가 불충분하다는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은 사이비 과학 취급을 받았다. 가설이 다양한 관찰 결과와 잘 맞으면 이를 정리하여 '이론(theory)'이 된다. 따라서 이론은 어떠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