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07-24 15:25
Archives
Recent Posts
관리 메뉴

My Archive

B767 관련 메모 본문

무기체계/공중급유

B767 관련 메모

빛나는 전구 2025. 7. 19. 22:35

두 차례의 석유 파동에 따른 경제성 있는 여객기에 대한 수요 증가

1973년 제1차 석유파동

원인: 욤키푸르 전쟁에 따른 아랍 산유국들의 석유 무기화 정책

1979년 제2차 석유파동

원인: 이란 혁명에 의한 이란 내 친미 정권 붕괴

원인: 이란혁명에 불안을 느낀 소련이 아프간 침공 (중동 정세 불안정)

원인: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원유 생산 불안정

 

1970년대 에어버스의 광동체 쌍발 여객기의 등장

1974년 유럽 에어버스에서 출시한 A300 광동체 쌍발 여객기가 운항을 시작했다.

1974년 10월, 대한항공이 A300 6대를 구매하며 첫 수출에 성공한다.

1977년 12월, 이스턴 항공에서 A300 상업 운항이 시작된다.

1978년 07월, 에어버스에서 A310 장거리 광동체 여객기 개발을 발표했다.

 

1970년대 보잉이 갖고 있던 유일한 광동체 여객기는 B747 여객기이다.

1972년에 보잉은 두 번째 광동체 여객기 개발에 착수한다.

707 여객기를 비롯한 다른 협동체 여객기를 대체할 목적으로 개발에 착수했다.

동시에 위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탈리아와 일본을 사업에 참여시켰다.

 

1980년대 항공사들은 운용 유지비가 적게 드는 여객기를 원했다.

단순하게 연비만 좋은 게 아니라 엔진 수를 최대로 줄여 정비나, 부품 소요를 줄이길 원했다.

개발 비용과 위험 부담을 줄이고자 B757 협동체 여객기와 개발을 같이 했다.

보잉으로써는 처음으로 JT9D와 CF6 엔진 둘 중에서 골라 탑재할 수 있는 옵션을 마련했다.

1981년 9월에 초도비행을 했으나 아직 석유 파동의 여파가 남아 있었다. 그래서 초반에는 판매 실적이 저조했다.

동시에 공기 저항을 줄이고자 동체 직경을 A300보다 줄이는 바람에 LD-3 규격의 컨테이너는 이용할 수 없었다.

그리고 미국의 대표 항공사인 팬암에서 B767 대신 A300을 도입하면서 적잖은 타격을 받았다.

 

B767-100

B757이 개발되고 있는 시점에서 둘 사이의 큰 차이가 없다고 판단되어 개발이 취소되었다.

 

B767-200

B767의 기본형이며 1985년에 ETOPS 90을 처음으로 받은 여객기이다.

 

이밖에 B767-300, B767-300ER, B767-300F, B767-400ER 등이 있다.

일본과 이탈리아는 KC-767 공중 급유기를 도입했었다. 더 나아가 일본은 E-767 까지 도입하여 운용했다.

 

'무기체계 > 공중급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 공중 급유기 1편  (0) 2023.05.2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