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경제공부

항공권의 가격 공부

빛나는 전구 2024. 9. 20. 23:27

첫 번째 공급의 비유연성. 수요에 맞춰 빠르게 대응하기(공급을 늘리기) 어려운 것이 항공권의 특징이다.

두 번째, 항공산업은 수요가 급변할 수 있는 산업이다. 예를 들어 갑자기 전쟁이 일어난다거나, 테러 발생 또는 지진 등의 천재지변으로 사람들이 항공권을 대거 취소할 수 있다.

세 번째, 항공업은 서비스업이다. 오늘 항공권은 내일 사라진다. 서비스의 소멸성이다.

네 번째, 고정비. 승객이 10명이 타든 100명이 타든 무조건 발생하는 비용이다. 이윤과 고정비, 그리고 변동비에서 이윤과 고정비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일드 매니지먼트. Yield management. 수익률 관리이다. 미국 항공사 아메리칸 에어라인이 저비용 항공사의 등장을 견제하기 위해 만든 관리기법이다. 서비스 기업의 대표적인 수익성 관리 기법으로 가격과 생산능력을 조절하여 이율을 극대화하는 전략적 관리기법.

다양한 가격을 설정하면서 항공권은 최저가와 최고가를 갖게 된다.

순수한 관광객은 자비로 항공권을 구매하기 때문에 가격에 민감한 반면, 비즈니스 목적의 탑승객은 출장을 목적으로 회사에서 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에 가격에 민감하지 않다. 이들은 정가를 온전하게 낼 수 있는 반면, 시간에 민감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요금 등급제를 실시한다. 처음에 100개의 좌석을 판매한 다음, 그 다음에 100개를 판매하는 등 끊어서 상품을 푼다.

이렇게 하면 처음에 풀었던 100개의 좌석이 판매되는 속도를 보며 수요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요를 보고 다음에 판매할 좌석의 가격을 다시 책정하는 것이다.

펜스(Fence)를 설정한다. 저렴한 가격에 티켓을 구매하더라도 취소할 경우 돈을 지불하게 만들거나 관광객들을 대상으로는 주말에 이착륙하는 티켓을 구매하도록, 출장을 목적으로 나가는 승객은 주중에 돌아오는 것에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로 대충 이해했는데 제대로 이해한 것이 맞는지 조금 더 생각해보자)

대부분의 항공사는 오버부킹을 한다. 노쇼의 비율을 고려하는 것이다. 수요 예측이 잘못된다면 큰 문제가 되지만,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는 것보다 적은 리스크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자신의 홈페이지에서도 판매할 수 있지만, Online Travel Agency, OTA를 통해 판매할 수 있다.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고자 항공사는 가격을 변동시켜 수요와 공급에 대응하고자 한다.

 

유튜브 가천대학교, G-TED 천차만별 항공권 가격, 그 속에 숨겨진 비밀 - 이경주 교수님(관광경영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