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체계/항공역학

궤도(orbit) 용어 정리

빛나는 전구 2024. 9. 17. 17:29

지구정지궤도(Geo Synchronous Orbit, GSO)

인공위성의 회전방향과 속도가 지구의 자전방향과 속도와 일치하여 지상에서 보기에 인공위성은 정지한 것처럼 보인다. 다른 말로 지구동기궤도(Geostationary Orbit, GEO)라고도 한다.

 

지구천이궤도(Geostationary Transfer Orbit, GTO)

발사체가 직접 인공위성을 정지궤도까지 올리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드물다. 따라서 발사체는 타원궤도인 지구천이궤도에 인공위성을 올려 놓은 다음 인공위성이 타원궤도의 원일점에서 자체 추력을 사용해 지구정지궤도로 이동(transfer)한다는 의미에서 해당 궤도를 '지구천이궤도'라고 한다.

 

지구저궤도(Low Earth Orbit, LEO)

우리들에게 친숙한 GPS 위성이나 지구관측용 위성은 지구정지궤도보다 더 낮은 '지구저궤도'에 위치한다. 당연히 이들은 우리 눈에 움직이는 것으로 관측된다.

 

태양동기궤도(Sun Synchronous Orbit, SSO)

극궤도(Polar orbit)의 한 형태로 항상 동일한 시간에 특정 위치를 지나도록 설계된 궤도이다. 태양 전지판이 항상 태양을 바라보도록 설정할 수 있다는 점도 유리하다.